top of page
유성아이콘.png

전공 마법

  1. 소서러 (자연&원소계)

 

개념,

정령 혹 악령에게 사랑받는 자. 

: 사랑받는 정령의 성질에 따라 백마법(정령)과, 흑마법(악령)의 두 갈래로 나뉘어진다.

(백&흑마법은 비율 영향 X 개인의 성질과 특성 차.)

 

자연계 정령의 힘을 끌어와 자신과 관련된 속성의 마법을 사용한다. 정령에게 사랑받음은 즉, 자연에게 사랑받는다는 말과 일맥상통하다. 

 

하여 이들은 스스로의 속성에 대한 내성이 강하며, 신체 일부를 해당 속성으로 변형하거나, 속성과 관련된 재해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마법을 사용한다.


 

분류,

대중적으로는 8원소로 속성이 분류되었으나, 차후 소서러 전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수록 몇가지 원소가 추가적으로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발견된 추가 원소는 총 5개로, 원소 학문에서는 이를 특수 원소라 묶어 칭하였다.

 

하여 소서러는 백마법&흑마법 / 8원소&특수원소 두가지로 분류되어진다.

 

  • 8원소 [ 빛, 어둠, 열(불), 물(얼음), 공기(바람), 전기(번개), 흙(땅), 힘(에너지)  ]

  • 특수원소 [ 식물, 독, 구름(안개), 금속, 모래 ]



 

인식,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일반 마법사. 

: 흔히들 비 마법사에게 마법사란 소서러를 의미한다. 그만큼 모든 마법사를 대표하는 분야이며 역사가 깊고, 그 역사에 따라 마법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된 전공이다.

 

기타,

차후 전투 시 공격형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ㅡ포지션 별 각 1명씩 선정. (8원소 필수 선별, 특수원소 선택적 추가 선별)


 

ㅡ소서러는 마법과 융화되며, 구현한다.

   2. 컨주러 (조련&창작계)

 

개념,

다루고, 창조하는 자.

: 조련과 창작의 성질 두가지를 모두 가지고있어야 하나 개중 조련에 특출하다면 소환술사, 창작에 특출하다면 연금술 혹 마공학자로 진출하곤 한다.


 

컨주러의 기본 개념은 소환술사에 가까우나, 어느순간 신을 불러내 예언을 듣는 신관 그리고 보배를 손에넣기 위한 연금술 또한 이 분야에 해당되기 시작되었다. 이어 본래 의도와는 다르지만 컨주러의 연금술 분야가 니바스 마법도시의 과학 분야와 융화되었고, 새로운 개념인 마공학이 생기게 되었다.


 

분류,

그러므로, 컨주러는 다시금 소환술사 / 연금술&마공학자로 분류되어진다.

(소환술사>연금술사>마공학자 순 발전)

 

소환술사란? 

  • 마나(마법)를 이용해 무언가를 불러내 소환하고, 이용하는 자. 이때 불러내는 것은 사물 혹 생명(동&식물)이 주를 이룬다. 

 

  • 그 밖에 실재하지 않는 외형의 마물 등 창작 형태 또한 소환이 가능한데, 이는 모두 마법으로 인해 소환 된 만큼 동물을 소환하더라도 해당 사물과 생명의 형체를 띌 뿐 실체는 마나 덩어리에 가깝기 때문이다. 

 

  • :동물을 소환한다고 가정할 시 그 동물은 죽지 않으며, 언제든 사라지도록 자유자재로 조절이 가능하다.

:검을 소환한다고 가정할 시 실제 존재하는 검을 자신의 위치에 불러오는 것 보다 새롭게 생성한다는 개념에 가깝다.


 

연금술사란?

  • 마나를 원천, 혹 원동력 삼아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직업. 마법에 대해 이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마법으로 인해 자신들이 원하는 특정한 무언가(금, 혹은 영생 등 귀한 것)를 얻고자 하였다. 몇몇 철학자들은 연금술의 목적을 금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자연을 탐구하는 것으로 보고 자연 철학의 일종으로 간주하기도 하였으며, 평가와 맞게끔 자연(+자연에서 파생된 마법)에 대한 탐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기여하기도 하였다.

 

마공학자란?

  • 마공학이란 연금술과 근본이 같다. 오히려 연금술을 조금 더 근대적으로 해석한 학문인데, 마공학자는 연금술과 달리 실용성에 중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분야가 갈라진다. 마공학자의 발전 토대는 니바스 마법도시의 기술력인 만큼 대부분의 이들이 기계 공학에 종사하며 주로 마나가 담긴 마법 도구를 만들거나, 마나를 자원 대신 소모해 에너지의 동력원으로 삼는 경우가 태반이다. 니바스 마법도시의 기술은 이들을 주축으로 발전되었다.


 

인식,

기술자에 가까우나, 이들도 엄연한 마법사. 

: 흔히들 컨주러를 직업인의 개념과 혼동하는 경우가 잦다. 그러나, 이들이 마법사인 까닭은 근본적인 원동력을 마나에서 가져온다는 것에 있다. 

 

마나를 하나의 동력원으로 가정 할 경우 일반 기술자와는 달리 컨주러는 자연에 해가 되지 않으며 일반 자원만을 사용하는 것 보다 에너지가 강대하고, 반 영구적인 특징을 가진다.

 

시대에 따라 그 흐름에 맞춰 분야가 발전하는, 유동적이며 미래 유망적인 전공이라 평가된다.


 

기타,

차후 전투 시 소환술사는 공격형, 연금술&마공학자는 지원형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ㅡ포지션 별 비율 선정. (소환술:연금&마공학 / 1:1).


 

ㅡ컨주러는 마법을 구현하며, 응용한다.

   3.일루저니스트 (정신&공간계)

 

개념,

정신, 공간 등 실재하지 않는 것을 다루는 자.

: 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마법을 다루나, 예외가 간혹 존재한다. 

 

간섭하고, 제어하며, 혹은 속여낸다. 

 

근 20~30년 새 새로이 떠오른 학문인 만큼 연구는 커녕 일루저니스트의 학문 자체에 대한 평가 의견 자체에 대한 자료가 굉장히 적거나, 찾아볼 수 없다.

 

하여 일루저니스트는, 제각각의 특성을 세분화해 정의하지 않고 일루저니스트 그 자체로 묶여진다. 


 

인식,

마법사가 아닌 마술사.

: 혹,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자면 이능력자. 시각적이지 않은 일루저니스트의 마법처럼, 그 정의와 개념 또한 쉽게 분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간혹 마술사라 폄하되는 둥 소서러에 비해 비교적 전공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기타,

차후 전투 시 일루저니스트는 지원형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ㅡ전공 내 포지션 분류 X (소서러:컨주러:일루저니스트 / 1:1:1 지향).

ㅡ일루저니스트는 마법을 응용하며, 간섭한다. 

아이콘-전공복장.png
iconfinder_Star-adornment-christmas-xmas
bottom of page